본문 바로가기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 목차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계산 예시 + 캘린더)

    재산세와 종부세는 모두 부동산에 부과되는 세금이지만, 부과 기준과 목적이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납부 시기와 계산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산세·종부세의 차이, 계산 예시, 납부 시기를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내 부동산 세금 예상 금액 조회

    정부24 부동산 세금 계산하기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1. 왜 재산세와 종부세는 헷갈리는가?

    재산세와 종부세가 헷갈리는 가장 큰 이유는 두 세금 모두 주택과 부동산 보유자에게 부과된다는 공통점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핵심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재산세 종부세
    목적 지방세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납부) 국세 (국가에 납부)
    부과 기준 모든 부동산 보유자 고가주택 또는 다주택자
    납부 시기 7월(건물) + 9월(토지) 11월~12월 사이 고지

     

    재산세와 종부세를 완전히 다른 세금으로 이해하면 혼란이 줄어듭니다.

     

    2. 재산세 정리 + 계산 예시

    재산세는 주택을 보유하면 누구나 납부합니다.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세율이 적용됩니다.

     

     

    재산세 계산 기본 공식:

    과세표준 × 세율 = 재산세

     

     

    예시 - 아파트 공시가격: 4억원

    - 재산세 과세표준 적용 후 세율 계산 결과: 약 50만~60만원 수준 (지자체별 세율·공정시장가액 반영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재산세는 단독주택/아파트/토지 여부와 건물의 가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므로, 보유자 대부분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부동산 보유세입니다.

     

    3. 종부세 정리 + 계산 예시

    종부세는 일정 금액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사람에게만 부과됩니다.

     

    즉, 종부세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되지 않습니다.

     

    종부세 기본 계산:

    (공시가격 합계 - 공제금액) × 세율 = 종부세

     

    예시 - 1세대 1주택자

    - 공시가격 합계 11억원 - 공제금액 12억원 → 종부세 없음 (2024 기준)

     

    다주택자 또는 공시가격이 높은 경우에만 종부세 대상이 됩니다.

     

    4. 납부 시기 캘린더

    재산세·종부세의 납부 시기는 다음 캘린더로 구분하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납부 세금
    7월 재산세 (건물, 주택)
    9월 재산세 (토지)
    11월~12월 종부세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산세는 여름에, 종부세는 연말에 납부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재산세와 종부세 둘 다 내는 경우도 있나요?
    A. 네. 고가 주택 또는 다주택 보유자는 둘 다 해당할 수 있습니다.

    Q. 종부세는 무조건 비싼가요?
    A. 세율이 높은 편이지만, 세액 공제와 공정시장가액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