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재산세·종부세 헷갈리는 이유와 구분법 (계산 예시 + 캘린더)
재산세와 종부세는 모두 부동산에 부과되는 세금이지만, 부과 기준과 목적이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납부 시기와 계산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산세·종부세의 차이, 계산 예시, 납부 시기를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내 부동산 세금 예상 금액 조회
정부24 부동산 세금 계산하기
1. 왜 재산세와 종부세는 헷갈리는가?
재산세와 종부세가 헷갈리는 가장 큰 이유는 두 세금 모두 주택과 부동산 보유자에게 부과된다는 공통점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핵심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분 | 재산세 | 종부세 |
|---|---|---|
| 목적 | 지방세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납부) | 국세 (국가에 납부) |
| 부과 기준 | 모든 부동산 보유자 | 고가주택 또는 다주택자 |
| 납부 시기 | 7월(건물) + 9월(토지) | 11월~12월 사이 고지 |
재산세와 종부세를 완전히 다른 세금으로 이해하면 혼란이 줄어듭니다.
2. 재산세 정리 + 계산 예시
재산세는 주택을 보유하면 누구나 납부합니다.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세율이 적용됩니다.
재산세 계산 기본 공식:
과세표준 × 세율 = 재산세
예시 - 아파트 공시가격: 4억원
- 재산세 과세표준 적용 후 세율 계산 결과: 약 50만~60만원 수준 (지자체별 세율·공정시장가액 반영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재산세는 단독주택/아파트/토지 여부와 건물의 가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므로, 보유자 대부분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부동산 보유세입니다.
3. 종부세 정리 + 계산 예시
종부세는 일정 금액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사람에게만 부과됩니다.
즉, 종부세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되지 않습니다.
종부세 기본 계산:
(공시가격 합계 - 공제금액) × 세율 = 종부세
예시 - 1세대 1주택자
- 공시가격 합계 11억원 - 공제금액 12억원 → 종부세 없음 (2024 기준)
다주택자 또는 공시가격이 높은 경우에만 종부세 대상이 됩니다.
4. 납부 시기 캘린더
재산세·종부세의 납부 시기는 다음 캘린더로 구분하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 월 | 납부 세금 |
|---|---|
| 7월 | 재산세 (건물, 주택) |
| 9월 | 재산세 (토지) |
| 11월~12월 | 종부세 |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산세는 여름에, 종부세는 연말에 납부합니다.
ㄱ
자주 묻는 질문
Q. 재산세와 종부세 둘 다 내는 경우도 있나요?
A. 네. 고가 주택 또는 다주택 보유자는 둘 다 해당할 수 있습니다.
Q. 종부세는 무조건 비싼가요?
A. 세율이 높은 편이지만, 세액 공제와 공정시장가액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